
2000's ~ 현재
2025. 03. 01. | 22대 장성은 교장 취임 |
---|---|
2025. 02. 10. | 일본 사이타마 시립 오오미야키타고등학교 국제 협력 협정체결 |
2024. 07. 08. | 오카다마 고등학교 삼일공업고등학교 우호교류협약 체결 |
2024. 07. 08. | 단국대학교 취창업지원처와 업무협약 체결 |
2024. 06. 20. | 한국폴리텍Ⅰ대학 성남캠퍼스와 교육 협력 업무협약 체결 |
2024. 05. 01. | 경기공유학교 프로그램 운영 지원을 위한 경기공유학교 거점활동공간 인증 |
2024. 04. 23. | 장안대학교와 교육 협력 업무협약 체결 |
2024. 03. 07. | 중국 산둥 지난창신과학기술직업중등전문학교와 우호 협력 및 학술 교류 협정 |
2024. 03. 01. | 2024학년도 신입생 입학식 및 3·1절 기념 행사 |
2023. 12. 08. | 용인예술과학대학교 레저스포츠과 업무협약 체결 |
2023. 11. 06. | 국립목포대학교 교육 협력 업무협약 체결 |
2023. 08. 22. | 독도의용수비대기념관(독도 교육 활성화)과 업무협약 체결 |
2023. 07. 20. | 한국공학대학교 조기취업형인재양성사업단과 업무협약 체결 |
2023. 03. 15. | 미래역량강화사업 선정 |
2023. 03, 01. | 2023학년도 신입생 입학식 및 3·1절 기념 행사 |
2022. 12. 29. | (주)우원기술과 기계과 업무협약 체결 |
2022. 10. 26. | 서원대학교 체육교육과와 레저스포츠과 업무협약 체결 |
2022. 08. 22. | 오산대학교 스포츠지도과와 레저스포츠과 업무협약 체결 |
2022. 07. 21. | 동방에프티엘(제약회사)과 화학공업과 업무협약 체결 |
2022. 07. 20. | 수원종로교회 강성률 담임목사 방문. ‘민족과 함께하는 수원종로교회 역사SINCE 1894’책 기증 |
2022. 07. 07. | 가천대 조기취업형 반도체·디스플레이학과와 업무협약 체결 |
2022. 07. 05. | 임태희 교육감 취임 후 학교 현장 방문 첫 방문지로 삼일공고 방문.직업교육 및 반도체 인력 양성 정책 피력 |
2022. 07. 01. | 가천대 설비소방학과와 소방전기과 업무협약 체결 |
2022. 05. 18. | 학과재구조화 승인(기계과를 로봇설계과로 재구조화) |
2022. 05. 11. | 임태희 교육감 후보 방문 |
2022. 03. 10. | 2022학년도 탄소중립 중점학교 선정 |
2022. 03. 01. | 교가 작곡변경(작곡가:우효원) |
2022. 02. 15. | 2022학년도 혁신지원사업 재선정(3차) |
2021. 12. 21. | 이재정 교육감3차 방문(2030진로교육체제 전환을 위한TF 8차 협의회 및 포럼 참석-체육관) |
2021. 09. 19. | 제9대 이성조 이사장 취임 |
2021. 08. 18. | 체육관(리모델링)개관식 및 흉상 제막식 |
2021. 05.20. | 이재정교육감2차 방문(코로나 기간중에 공사한 공간혁신 보러옴. B동 화공관 학생 휴게실과C동 교직원 카페) |
2021. 05. 26. | 환경분야 특성화고 지원사업 선정 |
2021. 05. 20. | 학과재구조화 승인(전기과를 소방전기과로 재구조화) |
2021. 03. 23. | 경기내일 직업교육 선도학교 재선정 |
2021. 03. 11. | 축구부'로 개명하여 출범(경기도교육청 자문) |
2021. 03. 01. | 고교학점제1차 연구학교 운영 종료 후 선도학교로 재지정 |
2021. 02. 22. | 특성화고 혁신지원사업 재선정(2차) |
2020. 09. 03. | 경기내일 직업교육 선도학교 선정 |
2020. 05. 08. | 과 고교취업 활성화 사업 업무 협약 체결 |
2020. 03. 24. | 매력적인 직업계고 육성사업 우수학교 선정 |
2020. 03. 01. | 경기도교육청 주관 혁신학교 재지정 |
2020. 02. 27. | 특성화고 혁신지원사업 선정 |
2020. 02. 03. | 한양대학교(서울)와 창의미래인재 양성 및4차산업 기술인재 양성에 관한 협약체결 |
2020. 01. 26. | 수도권 특성화고 최초 과정평가형 자격 검정 시행 |
2019. 07. 04. | 공유경제시스템과1학급 개편 승인 |
2019. 04. 26. | 꿈꾸는 환경학교3기 선정 |
2019. 03. 02. | 수원형 도제학교 운영(3D융합콘텐츠과) |
2018. 09. 12. | “경기대학교와 교육협력에 관한 협약 체결(고교학점제)” |
2018. 07. 24. | 레저스포츠과1학급,사물인터넷과2학급 개편 승인 |
2018. 03. 05. | 지식재산 일반 선도학교 선정 |
2018. 02. 20. | 제7대 장동일이사 학교법인 삼일학원 이사장 취임 |
2018. 02. 02. | 경기도형 도제학교 운영교 선정(기계과) |
2018. 01. 30. | “2018호주오픈 테니스대회4강 쾌거 수원의 아들 정현선수 환영회” |
2017. 11. 12. | 학생맞춤형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선정 |
2017. 09. 21. | 중등 직업계고 비중확대사업 선정(2개 학과–경찰사무행정과, 3D융합콘텐츠과) |
2017. 07. 11. | 매력적인 직업계고 육성사업 선정 |
2017. 03. 24. | 아주대학교와 선취업 후진학제도 활성화 업무협약 |
2017. 03. 02. | 교육부와 노동부가 공동 운영하는“산학일체형 도제학교 프로그램”에5년간 거점학교로 선정 |
2017. 03. 01. | 21대 김동수 교장 취임 |
2017. 01. 18. | 교육부,고용노동부 지정 도제학교 선정 |
2016. 03. 01. | 경기도교육청 지정 혁신학교 선정(특성화고 전국최초) 학과개편 및 변경(발명화학공업과→화학공업과,발명환경공업과→환경과,발명기계과→기계과,발명전기과→전기과,발명IT전자과→전자과,발명미디어과→정보통신과) |
2012. 10. 23~30. | 기업과 함께하는 발명프로그램 개최(이후 발명특성화고 순차적 개최) |
2011. 03. 02. | 경기도교육청 지정7개 전학과 특성화고등학교 개편 (발명제약공업과,발명에너지환경과,발명기계과,발명제어시스템과,발명IT전자과,발명미디어과,발명디자인과) |
2010. 05. 14. | 이명박 대통령 방문 |
2010. 03. 26. | 천안함 사건(박경수 상사 영결식-체육관) |
2010. 02. 25. | 20대 소진억교장 취임 |
2010, 2011 | 대한민국 좋은학교2년 연속 선정(교육과학기술부) |
2008 ~ | 단위학교 최초 전국 학생 창업·발명 아이디어 경진대회 주관 |
2007. 09. 10. | 특허청 지정 발명·특허 특성화학교로 선정(특성화학과 발명창작과1학급 승인.정보전자과4학급→3학급) |
2006. 02. 25. | 제6대 서철목사 이사장에 취임 |
2004. 03. 04. | 삼일공고 축구부 창단 |
2003. 08. 07. | 기계과→컴퓨터응용기계과,전기과→컴퓨터응용전기과로 학과개편 |
2002. 09. 24. | 정보전자과2개학급 증설 인가(2개학급→4개학급) |
2002. 06. 29. | 제2연평해전(박경수 중사 북한군 총탄에 맞음) |
2001. 10. 12. | 2002학년도 학과 개편(전자과→정보전자과로 학과 명칭변경,멀티미디어과1학급→2학급,전기과3학급→2학급) |
2000. 03. 02. | 남녀공학으로 여학생113명 입학 |
1999. 07. 07. | 첨단학과개편 멀티미디어과1학급.환경공업과1학급 승인 및 남녀공학 승인 |
---|---|
1997. 04. 01. | 19대 리강인 교장 취임 |
1996. 03. 02. | 화학공업과,전기과 각2학급 증설 |
1995. 06. 09~10 | 제1회 빅트리 축제 |
1994. 03. 02. | 전자과2학급 증설 |
1993. 03. 02. | 산업체특별학급 전자과3학급 증설 |
1992. 10. 01. | 18대 김영상 교장 취임 |
1991. 06. 23. | 삼일상동교회 신축·봉헌 |
1991. 03. 02. | 산업체 특별학급 전기과4학급 증설 |
1990. 12. 17. | 교육기자재 컴퓨터 도입 |
1988. 12. 26. | 제5대 이동학 목사 학교법인 삼일학원 이사장에 취임 |
1988. 04. 30. | 17대 김상열 교장 취임 |
1988. 02. 29. | 삼일공업고등학교,삼일상업고등학교 분리 16대 김기억 교장 |
1987. 05. 07. | 삼일체육관 건립 |
1986. 03. 11. | 15대 서장석 교장 취임 |
1982. 02. 01. | 경기도 교육위원회 지정 생산실습 교육 시범학교(기계) |
1980. 11. 27. | 화학공업과 실습실 준공 및 실습기자재2차 도입(서독) |
1979. 11. 14. | 화학공업과,기계과,전기과 각과1학급 증설인가 |
1978. 10. 24. | 서독의2차원조 정식승인(원조액115,000,000원) |
1976. 06. 01. | 제4대 박설봉 감독 이사장에 취임 |
1974. 03. 14. | 기계과․전기과 교실 및 실습실4동 준공 및 기자재1차 도입(서독) |
1974. 03. 01. | 테니스부,농구부 창설 |
1973. 12. 08. | 기계과․전기과 설치인가 |
1972. 10. 26. | 서독의1차원조 정식승인(원조액445,000,000원) |
1969. 03. 07. | 삼일실업고등학교 현판식(삼일운동33인중 유일한 생존자 이갑성 선생 참석) |
1968. 11. 20. | 화학공업과 설치인가(공과증설) 삼일실업고등학교로 교명 개칭 |
1968. 09. 10. | 삼일학원 창립65주년 기념식 |
1968. 09. 02. | 세계교회협의회(서독개신교개발중앙회)에서 공과설치 무상원조신청 수락 서신도착(549,065.21달러) |
1968. 08. 30. | 선교부 보조1966년 이후 현재까지3,750,800원 |
1967. 12. 31. | 1963년8교실 신축한 건물을 연결하여8개의 새로운 교실 신축.(미군8군단 대민 원조 받음) |
1967. 10. 02. | 공과(工科)설치를 위한 기획실 설치.화공과 자동차과 기계과 전기과 학급당40명 모집 예정 |
1966. 05. 18. | 2차 세계대전후 미국 북감리회 선교부에서 다시 삼일학교에 보조 제개.6,470,000원 법인 수습비조로 보조 |
1966. 04. 23. | 김광우 목사3대 삼일학원 이사장에 취임(이성을 잃었다고 하리만치 치열했던 삼일학원의 계속된 분규(紛糾)는 수원사회의 폭등한 물의 가운데 그 귀추가 주목 되더니 자그만치9년 만에 종식 됨) |
1965. 12. 09. | 최왕희 초대 이사장 사임(1939.11.5.~1965.12.9.)삼일학원 분규(紛糾)로 심적 타격을 입고 사임함.최씨 집안이 아니었으면 오늘날 삼일학원은 없었음 |
1965. 03. 20. | 타이프실 운영(한글 타이프라이터31대,영문 타이프라이터21대. 150대) |
1964. 09. 01. | 사랑과 봉사 교훈 설정(設定) |
1964. 01. 01. | 14대 장기홍 교장 취임 |
1964 | 삼일학원 분규 수습. (삼일학원 이사장:김광우 목사) |
1963 | 8교실을 신축 |
1962. 04. 09. | 삼일(三一)중학교를 동(東)중학교로 교명 변경 삼일(三一)상업고등학교를 수원(水原)상업고등학교로 교명 변경※변경 사유 붙임 참조 |
1961. 12. 15. | 삼일상업고등학교 야간부 남녀(男女)공학(共學)설치 인가 |
1961. 10. 01. | 13대 고영춘 교장 취임. (1년6개월 만에 사임)삼일학교 분규(紛糾)가 극심하던 시기 |
1960. 05. 31. | 12대 김병갑 교장 취임(1961.9.30.)임시특례법에 의해 퇴직 |
1958. 03. 19. | 삼일중학교 야간부 설치 |
1957 | 삼일상업고등학교에 제2부(야간부)설치 |
1956. 05. 09. | 11대 차중은 교장 삼일 중ㆍ상업고등학교 교장취임 |
1955. 03. 07. | 삼일상업고등학교 설치인가 |
1953. 09. 10. | 50주년 기념식.(김병호 교장33년 근속,김동민 선생25년 근속 표창) 김병호 교장-삼일학원 재단설립,삼일중,삼일상업고 설립 |
1952. 04. 05. | 삼일학교를 이양 받음 |
1951. 08. 24. | 삼일초등학교37회 졸업식을 마지막으로 폐교 |
1951. 03. 31. | 삼일 초급(初級)중학교를 삼일 중(中)학교로 개칭 |
1951. 03. 20. | 피난에서 돌아 온 약100명의 학생들을 데리고 중포산(中浦山)밑에서 피난민 학교 생활.종로교회에서 수업을 하였음.중포산은 현재 창룡문 일대를 말함. |
1950. 11. | UN군으로 참전한 네덜란드군인 주둔 |
1950. 08. 24. | 보통과37회 졸업식을 끝으로 삼일 초등학교 폐교(廢校) |
1950. 03. 30. | ‘삼일중학교 재단법인 삼일학원’법인 설립.최왕희씨가 희사한 토지 재산과 해방 후 삼일학교 승격을 위하여 기독교 대한 감리회 유지재단 소속 재산 토지와 건물을 합하여 당시 재산 총액681만2천7백15원 재원으로 설립 초대 이사장:최왕희.이사:신현익,홍수복,정등운,김병호.감사:최찬영,함진한 ※최왕희씨 기부:화성군 장안면,여주군 가남면 소재 논64,539평.이천군 장호원,여주군 여주 밭9,167평 ※건물:수원시 매향동 소재 최태영 선생 기념관110평 ※기독교 대한 감리회 유지재단 수원시 매향동109밭34평, 106 800평, 107 40평.계874평 ※대지:매향동108 290평. 110 919평,18 136평.북수동370 186평.계1,395평 ※건물 매향동110벽돌2층139평, 110목조 함석 단층41평,북수동,남수동 외 주택2동77평.계257평 ※총평 및 총액 -75,975평 -367평 -6,812,715원 |
1950. 03. 30. | 재단법인 삼일학원 설립 최왕희씨가73,706평의 전답(田畓)토지를 삼일학교 설립 기본 재산으로 희사 |
1950. 01. 16. | 교사(校舍)는 미군 병원부대가 점용(占用) |
1948. 08. 20. | 중학교1회 졸업 |
1947. 01. 17. | 삼일학교 교가 제정.김병호 교장 작사,이흥열 작곡 |
1946~1950 | 홍수복 제5대 설립자 |
1946. 12. 12. | 삼일 초급(初級)중학교 설립 미군정 문교부로부터 삼일학교 고등과(高等科)를 승격시켜 삼일 초급(初級)중학교로 인가. 기독교 대한 감리회 유지재단 산하(傘下)선교부로부터 교사와 운동장 사용 승낙 받음 |
1946. 05. 17. | 홍수복씨와 윤태은씨의 희사로 보통학교 고등과2년제를3년제 초급 중학교로 인가 신청 허가를 받음.두 분의 희사로 유지재단이 설립되면서 초등교육이 중등교육으로 개편 됨.설립자는 홍수복으로 함 홍수복씨 기부 내용 과수원10,969평,대지867평 계11,836평 윤태은씨 기부 내용 밭7,596평,논24,948평,토지1,431평 계33,975평 |
1945. 09. 01. | 조선총독부에 의해 빼앗겼던‘삼일’이라는 교명을 되찾음 |
1945. 08. 16. | 수원시민 광복 경축행사(3일간 진행)밤을 세워 학생과 교직원들이 태극기를 만들어 수원시민들에게 나눠줌 아담스기념관 이름을 지우라는 조선총독부의 지시에 김병호교장은 극비리에 광목을 그겹으로 겊고 시멘트를 발르라고 하였음.해방 후 광목을 떼어냄으로서 글자를 그대로 보전할 수 있었음. |
1945. 02. 26. | 삼일 보통학교 안에 있던 고등과(高等科) 9회 졸업과 동시에 폐과(廢科)됨 |
1940~1946 | 양성관 제4대 설립자 |
1940.12. | 삼일학교 기본재산을 감리교유지재단에 위탁 편입. 대지:매향동110번지의 대(垈) 2,269평 아담스기념관 등의 건물4동 건평180평과 주택2동77평 |
1940. 12. 27. | 양성관 연액6,000원 부담하기로 하고 이사회에서 설립자로 결의함 |
1940. 11. 09. | 조선충독부에 의해 삼일학교 교명을 팓달심상소학교,고등소학교로 강제 개명(삼일 독립운동을 연상케 한다는 이유로) |
1940. 03. 10. | 최태영선생 기념관 신축(최상희의夫. 10,000원으로 건축) |
1939~1940 | 최상희 제3대 설립자 |
1939. 11. | 최씨3형제가 삼일학교 유지재단에 거액을 기부함(최상희 유지재단 기금10,000원,경상비10,000도합20,000원,長兄최상덕 운동기구 설비2,000원,次兄최상규理科기구 설비1,500원) ※당시 교사 봉급5원50전(최저 생계비도 안됐음) 道당국으로부터 승격(昇格)조건으로 연 경상비5,000원 확보 지시 (새 설립자 들 최상덕2,000원,최상규1,500원,최상희2,000원,수원 제1의 부호(富豪)양성관6,000원) ※삼일 남녀학감을 역임한 독립운동가 김세환 선생이 최상희씨를 설득하여 삼일학교에 기부하게 하였음 |
1938.4.1. | 삼일여학교를 매향심상소학교로 교명 변경 |
1938 | 미ㆍ일전쟁 발발직전 선교사들이 조선에서 철수 함.다시 폐교위기에 처함 유부영(柳富榮)교무주임은 독실한 기독교 신자이며 철저한 민족주의자.일본 경찰의 요시찰 인물.강제징용당함.순국 당한 애국 교사(敎師) |
1936. 03. 25. | 고등과1회 졸업 |
1935 | 수원 사회의 유지들에 의해 보통과10학급,고등과2학급 증설 |
1934. 03. 20. | 삼일 보통학교 안에 고등과(高等科)부설 |
1934. 03. 04. | 고등과2년제 인가 받음 삼일학교 학생들의 가정형편은 중류 이하와 천민들이었음. 1개월 경상비46원이었으나,부채는 날로 늘어300원까지 갔음. |
1931. 04. 01. | 10대 김병호 교장 취임.교회는 김병호 교장에게 경영일체를 위임함.(학생140명,교사6명에 불과하였음) 1956년5월 삼일학교장을 사임하고,삼일애육원장과 종로교회 유치원장,소년 보호사 촉탁 겸임 |
1930 | 이하영 목사 원로목사로 파송(강릉교회에서1927년 휴직하고 수원으로 돌아와 봉사를 시작하다.) |
1927 | 제1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불경기로 북감리회 선교부에서 보조금을 감축함.재정위기 가속 폐교위기 차유순,차태익의 온정으로 폐교 면함 |
1926 | 종로교회에서 손을 떼겠다는 것을 교사들이 스스로 봉급의 반액을 받아도 좋으니 폐교를 말아 달라고 진정하여 폐교의 위기를 면함 |
1925. 09. 04. | 일본인 정부에 의해4년에서6년으로 수업 연한 변경 삼일은 설립 초(初)에는 완전한 중등교육 기관이었으나,초등교육기관으로 격하(格下)된 학교라 정리 대상이었음 |
1924. 05. 14. | 남녀 삼일학교 연합 운동회 개최(사립 삼일 보통학교,사립 삼일 여자 보통학교) |
1923. 11. 23. | 삼일학교 매향동에 아담스(Adams)기념관을 신축하여 이전(매향동110번지에 벽돌2층 총건평114평).현석칠 감리사의 노고.노블 선교사의 기도와 협조로 미국 아담스 교회의 헌금,수원종로교회 교유들의 헌금,그리고 임면수 권사의 학교 사랑에 지역 유지들의 협찬금을 보태어 운동장으로 사용하던 매향동110번지에 교사(敎舍)를 신축.예배당을 교실로 사용하던 삼일학교를 매향동으로 이전 |
1923. 05. 13. | 이상욱선생 과로사.순직 |
1920~1939 | 노블 제2대 설립자 |
1920 | 이상욱선생(경서의학전문학교 재학중)부임 9대 케블 선교사(1920~1931)명의 교장 |
1919. 03. 01. | 화홍문에서 기미(己未)독립운동 참여 |
1918 | 8대 한창섭 교장(1918~1920) -직무대리 명의 교장 |
1914. 03. 21. | 삼일 보통학교1회 졸업 |
1914 | 7대 고로부(高路夫)교장(1901~1918)명의 교장 삼일여학교 매향동으로 이전.나중석가 임면수가 헌납한 매향동 토지3,000평에 밀러교장은 선교비 지원을 받아 영와조40평 교실을 신축하여1915년에 이전한다. |
1911. 11. | 삼일학교 경영을 미감리회 선교부로 이관.교장:테일러(H. C. Taylor)선교사 |
1911. 01. 22. | 삼일학교 삼일보통학교로 인가받아 교우 자녀23명으로 재개하다.(교장 직무대리 유홍준 전도사) |
1910~1920 | 맥이딕 제1대 설립자 |
1910. 06. 25. | 졸업식을 앞두고 교과서 압수 당함(일본인에 의해 쓰여진 책이 아니라 애국지사들에 의해 쓰여진 교과서 였음) 고등과(高等科)제2회 졸업과 동시에 폐과(廢科)됨.한일합방 후 보통과(普通科)만 유지 됨 |
1910 | 경술국치 이후 설립자들이 각자 독립운동을 위해 흩어짐(이하영-西北,임면수-滿洲,나중석-서울) 삼일학교는 재정난으로 종로교회 단독 운영.고등과(高等科)폐과,보통학교로 격하(格下) 6대 다이어 교장(1910~1914)명의 교장(이름만 빌려주는 것을 의미함.) |
1909. 07. 07. | 고등과(高等科)제1회 졸업 |
1909 | 5대 이지성 교장(1909~1910) 삼일학교 폐교(물심양면으로 돕던 지역 유지들의 협조는 끊어지고 경영이 어려워 삼일학교 문을 열지 못하게 되다.) 임면수 교장은 고향 수원을 떠나면서 중포산(매향동)의 가대(家垈집과 집터)와 과수원2,000여평을 삼일학교에 희사하고 망명의 길을 떠남. |
1908. 09. 01. | 재정적 문제로 인해 학교 경영권을 북감리회 선교부로 이양 |
1908. 06. 14. | 기호흥학교 경기지회 수원군지회 결성(이하영,임면수 등 삼일학교 교사가 주축) |
1908. 06. | 측량과 설치(1년 과정.특별히 설치됨) |
1908 | 삼일여학교 경영을 분리.장안동95번지에 인접한 땅200평을 매입.한옥으로24평 규모의 가사실습실을 신축. 4월28일 미감리회 한국주재 여선교회 선교부로 경영이관. 6월 밀러 선교사가 삼일여학교 교장이 됨. 4대 이범창 교장(1908~1909) 삼일학교 남창동으로 분교(교장 임면수)지역유지들은 삼일학교를 강력한 민족사학으로 육성키 위해 임면수 학감을 교장으로 추대.임면수 교장 사임으로 한 학기만에 수습되어 교회로 돌아오다 경영난으로 북감리회 선교부로 삼일학교 이양 |
1907. 03. | 이하영전도사와 삼일학교 학감 임면수 권사,김제구가 주축이 되어 국채보상운동 전개 수집금 관리 책임자는 김한목 교장,회계는 나중석,최유순 |
1907 | 3대 이하영 교장(1907.7~1908) 교회와 삼일학교를 보시동에서 행궁 앞 종로 이전(북수동368-1번지. 500평 규모 목조함석40평을 신축 이전) |
1906. 09. | 삼일학당,중등과정으로 인가 받아 정식 학교가 되다.심상과(초등학교 정도) 1년,고등과(중학교 정도) 3년 채성석 삼일학당 선생으로 부임.영어·산술 가르침 |
1906. 05. | 나중석,매향동 밭900평을 운동장으로 사용하도록 희사 수원의 재산가 강석호 옥중에서8만냥 희사(삼일학교 초창기에 학교 존속발전에 크게 기여한 삼일의 은인) 설립자 중1인인 나중석씨,매향동 토지900평 기부 |
1906. 03. | 삼일여학당,거북산(팔달산)아래 군기동(장안동) 95번지에 초가집이 있는350평을 구입하여 분가 |
1905. 06. | 2대 김한목(시흥군수와 경기도 관찰사 서리를 역임)교장(1905~1907)청빙 이하영은 성부(聖父),성자(聖子),성령(聖靈)의 삼위일체(三位一體)하나님의 삼일(三一)을 따서 학교 이름을 삼일학당(三一學堂)이라하고 여학교는 따로 이름을 짓지 않고 삼일여학당이라 하였다. |
1905 | 수원 유지 강석호씨의 기부받아 학칙 변경 및 운영 정상화 하였으나,기부금을 다 써서 북감리회 남선교부로 이양 |
1903~1910 | 뻐득 창설 협동 선교사 |
1903 | 이하영을 매일학교 학당장에 위촉하였다.선교부에서 이하영교사 한명 교사로 채용, |
1902. 06. 03. | 여자매일학교(삼일여학당:매향학교)개교 메리 스크랜튼(Mrs. M. F. Scranton)선교사의 도움으로6월 초,수원교회 초가집에서 소녀3명으로 시작하였다. |
1902. 04. 24이전 | 남자매일학교 개교(4월24일 이전에 개교) :교인들은 베크(S.A.Beck)선교사의 도움을 받아15명의 학생으로 남자매일학교(이하 삼일학교)를 시작하다. (이하영씨가 한문을 가르치는 선생이 되다.) 임면수,이하영,나중석 등 |
1901 | 종로교회:보시동(북수동) 115번지. 208평의 대지에 비교적 큰13칸의 초가집을 구입하여 수리하교11월에 입주 |
1894 | 수원종로교회 기년 |